
육아휴직 후 복직을 거부당하거나 불이익을 받는다면, 이는 명백한 부당해고입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많은 직장인들이 부당해고를 당하고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 육아휴직 후 부당해고 사례
- 신고 방법 및 필요한 서류
- 법적으로 보호받는 방법
- 실제 경험과 회사의 반응
등을 꼼꼼하게 정리했습니다. 부당해고를 당하지 않기 위해 꼭 알아둬야 할 정보들을 지금 확인하세요!
📢 육아휴직 후 복직 거부? 부당해고 상담 바로가기
1. 육아휴직 후 부당해고, 이런 경우라면?
육아휴직 후 복직을 앞두고 회사가 다음과 같이 말한다면?
- 🚨 “이미 대체 인력이 정규직이 됐어요.”
- 🚨 “자리가 없어서 다른 부서로 배치할게요.”
- 🚨 “급여를 줄여야 할 것 같아요.”
이 모든 경우는 부당해고 또는 불이익 처우에 해당할 가능성이 큽니다.
법적으로 육아휴직 후에는 반드시 원래 자리로 복직해야 합니다.
- 근로기준법 제23조: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금지
- 남녀고용평등법 제19조: 육아휴직 후 불이익 처우 금지
하지만 현실에서는? 제 주변에서도 육아휴직 후 돌아왔더니, 자리 배치를 변경하거나 퇴사를 종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에서는 “눈치 보여서 못 버티겠다”며 스스로 그만두는 경우도 적지 않죠.
2. 부당해고를 당했다면? 신고 전에 꼭 할 일
부당해고 신고 전 해야 할 3가지
- 회사와 주고받은 이메일, 문자, 카톡 증거 수집
- “자리가 없다”는 말이 담긴 메일, 대화 캡처
- 회사가 제안한 부서 이동, 감봉, 퇴사 권유 내용
- 동료들의 증언 확보
- “육아휴직 후 자리가 사라졌다”는 증언
- 가능하면 팀장, 인사팀과의 대화 녹음
- 노동청 상담 및 무료 법률 지원 신청
- 노동청에 먼저 상담 요청
- 무료 법률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기관 활용
부당해고 무료 상담 받을 수 있는 곳
3. 육아휴직 부당해고 신고 방법 (완벽 가이드)
🔥 STEP 1. 노동청에 신고 접수
📌 신고할 곳: 고용노동부 관할 노동청
신고 방법
- 고용노동부 노동포털 접속
- 부당노동행위 신고센터에서 온라인 접수
- 관련 증거 파일 업로드
🔥 STEP 2. 노동청 조사 진행
- 신고 후 2주 이내 담당자가 배정
- 회사에 출석 요청 후 진술 조사 진행
- 증거 부족 시 추가 자료 제출 요청 가능
이 단계에서 회사가 합의를 시도할 수도 있음
- “원래 자리로 복직시켜 줄게요.”
- “일부 보상해 줄게요.”
하지만! 부당해고가 명백하다면 끝까지 신고를 진행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STEP 3. 시정명령 및 법적 조치
- 조사 결과 부당해고가 인정되면:
- 복직 명령이 내려짐
- 미이행 시 과태료 및 추가 법적 대응 가능
- 회사가 복직을 거부하면:
- 노동위원회에 재심 청구
- 법원 소송 가능 (부당해고 소송 지원 제도 활용)
4. 부당해고 대응, 회사의 반응은? (현실적인 이야기)
제가 직접 경험한 사례와 주변 이야기들을 들어보면, 부당해고 신고 후 회사의 반응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1. “잘못 인정하고 복직 조치” (대기업, 공기업)
대기업/공기업은 부당해고 신고가 들어오면 빠르게 복직 처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는 법적 분쟁을 피하려는 것입니다.
추천 대응:
- 최대한 강경한 태도로 신고 진행
- 원래 자리로 복귀하는 것을 1순위 목표로 삼기
2. “합의금 주고 조용히 마무리” (중소기업, 스타트업)
중소기업의 경우, 법적 분쟁을 피하기 위해 합의금(퇴직금+위로금)을 주고 끝내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추천 대응:
- 복직이 아닌 보상을 원하면 합의금을 최대한 높게 요구
- “노동위원회까지 갈 생각이다”는 강경한 태도가 필요
3. “끝까지 버틴다” (경영 악화 기업, 악덕 사업주)
일부 회사들은 끝까지 버티면서 직원이 지치기를 기다리기도 합니다.
추천 대응:
- 노동위원회 및 법원까지 가는 강한 의지를 보일 것
- 무료 법률 지원 제도를 적극 활용할 것
5. 결론: 육아휴직 후 부당해고, 절대 참고 있으면 안 된다!
육아휴직 후 부당해고는 명백한 불법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많은 직장인들이 신고를 망설이거나, 스스로 퇴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지금 당장 할 일:
✅ 육아휴직 후 복직 거부당했다면 증거부터 확보
✅ 고용노동부 신고 접수 (1350)
✅ 무료 법률 상담 활용하여 강경 대응
💡 회사에서 육아휴직을 문제 삼는다면? 절대 혼자 고민하지 말고 법적 조치를 취하세요!
🔗 부당해고 신고 절차 자세히 보기
📌 관련글
육아휴직 중 부업 가능할까? 급여 유지하며 합법적으로 수익 얻는 법
육아휴직 급여, 회사 부담은? 현실적인 비용과 지원금 총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