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전망 – 돈이 몰리는 이유

요즘 메타버스가 엄청 대세죠. 메타버스 전망에 대해서도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오늘은 메타버스의 흐름과 메타버스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메타버스라는 개념은 언제 가장 먼저 등장했을까요? 1992년도에 나온 스노크러시라는 소설이 있는데 거기서 피자 배달원의 주인공이 진짜 세계와 가상 세계를 해왔습니다. 갔다는 얘기를 하면서 가상의 세계를 메타버스라고 불렀어요.

 

메타버스라는 말은 메타초월을 의미하며 유니버스 세계를 의미하며 초월세계, 이것을 메타버스라고 합니다. 지금 제가 살고 있는 이 세계 위에 겹쳐 있는 세계라는 거죠. 그래서 곰곰이 생각해보면 저희는 이미 메타버스 세상에 살고 있거든요.

 

제가 하루하루 해온 일을 다양한 sns에 오르면 라이프 로깅 메타버스에 들어간 것이고 게임 속 세계에 있을 때는 가상세계 속에 있는 것이고 맵을 켜거나 내비게이션을 켜는 것은 거울세계 속 메타버스에 사는 것으로 어떤 판타지나 스토리를 입히면 증강현실이 되는 것입니다.

메타버스 안에는 4개의 증강 가상 거울 라이프 로깅이라는 종류가 있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메타버스에 대해 설명한 저의 이전 글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메타버스 전망이 어떻게 될지 알아보기 위해 메타버스가 뜨게 된 계기부터 현실, 미래까지 살펴보겠습니다.

 

메타버스가 뜨게 된 계기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 대체 메타버스를 왜 알아야 하는데 무슨 버스인지 모르는데 메타버스라는 게 왜 이렇게 핫한데 답은 간단합니다. 돈이 되기 위해 엄청나게 많은 돈이 메타버스 안으로 흘러들고 있는데 이게 바로 코로나19 때문에 가속화됐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때문에 전 세계 사람들이 격리되거나 다른 사람들을 만날 수 없었잖아요. 아티스트나 사람을 만나야 할 사람은 어떤 형태로 공연을 하나요? 고민하면서 가상현실 속에서 게임 속 세상에서 제가 뮤직비디오를 공개하고 제 콘서트를 해서 이런 걸 시도했거든요.

 

대표적인 예가 에픽게임즈에서 내놓은 포트나이트라는 게임에서 BTS가 파티 로열이라는 기능을 통해 실제로 세상을 복사해 놓은 듯한 메타버스 안에서 자신들의 뮤직비디오를 선보여 굉장히 많은 팬들이 열광하고 즐겼습니다. 미국의 유명 래퍼 트래비스 스콧의 경우도 지난 4월 메타버스에서 공연을 했습니다.

 

근데 몇 명이 이 공연에 왔냐면 무려 1230만 명이 왔어요. 그 1회 공연으로 200억원이 넘는 돈을 벌었다고 합니다. 어떤 콘서트홀에 1230만 명을 모아 콘서트를 할 수 있을까요? 그러니까 한번에 200억원 버는 것도 천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한 장소에서 콘서트를 즐기는 것도 어려웠을 텐데, 메타버스에서는 이게 가능해진 겁니다.

 

왜 사람들은 메타버스에 열광하는가

지금 사람들이 이렇게 메타버스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입니다.

 

초등학생의 경우는 미국에서 로블록스라는 게임을 매우 즐기고 있습니다. 저희 때는 레고를 즐겼잖아요. 로블록스는 온라인 세계에서 나만 놀 수 있는 세상을 마치 레고블록을 쌓듯이 구성해놓고 거기에 가서 친구도 만나고 즐기고 이 모든 것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구분 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말 초등학생에게는 메타버스라는 것이 굉장히 새로운 혁신적인 개념이 아니라 가장 재미있게 놀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래학자들이 자주 이야기하는 것 중 하나가 제가 태어나기 전에 있었던 기술적 혁신은 그게 아무리 엄청난 것도 아닙니다. 우리 같은 경우에도 컴퓨터 발견 활자 발견 같은게 별거 아니잖아요. 지금의 우리도 엄청 혁신적이라고 메타버스라고 부르는데 아마 제 아들 세대는 이 메타버스 자체가 진짜 세상 세대가 될 것 같아요.

 

이 얘기를 많이 하는데 게임 안이 메타버스라고 생각할 수도 있잖아요. 하지만 메타버스는 좀 특별해요. 메타버스는 동시성이 있고 예측불가능성이 있어 일종의 현장성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온라인 강의와 오프라인 강의가 다른 이유가 오프라인에서 강의를 하면 그날 어떤 관객이 오는지 몇 명의 관객이 있는지, 이 사람들이 어떻게 호응을 보내는지, 무슨 질문을 하는지 모르잖아요.

 

현실 속 세상에 재밌는 이유가 그런데도 이걸 온라인으로 가게 되면 이미 지난 강의를 보게 되거나 지금도 유튜브를 보고 계신 분들이 녹화한 분량을 보고 계시잖아요. 소통하는데 실시간이 아니거든요.

 

메타버스 세계 속에서는 예측 불가능하게 현장 안에 누가 오는지, 누가 내 영상을 보는지, 누가 나와 함께 인터랙션을 하고 소통하는지 입니다. 모른다는 것이 메타버스를 흥미진진하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하나는 제가 게임을 하다가 일어난 일이 그 순간 제가 잡지 못하면 그냥 사라지는 것이고 그 이벤트는 없어지는 것이고 그래서 저희가 요즘 fomo라고 합니다.fear of missingout 무언가를 놓치고 싶지 않은 요즘 세대의 특성입니다. 저만 빼고 재밌는 일이 있었던 것 같아요.저도 그거 하고 싶은 느낌 있잖아요

 

그래서 단순히 디지털 온라인 비대면 이게 메타버스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연결할 수 있고 어떤 재미있는 일을 할지 모르는 그런 세상이 메타버스 세상입니다.

 

메타버스의 현실

 

메타버스가 단어와 개념으로 생긴 건 최근이지만 사실 우리 뇌가 이미 메타버스 안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그 이유가 뭐냐면 뇌의 입장에서는 이 진짜 세상이 이 유니버스가 가상현실과 같습니다.

 

이것을 밀러의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우리는 어떻게 세계를 보고 있는걸까요? 빛이 망막에서 전기 신호가 되어 뇌로 전달이 됩니다. 듣는건 어떻게 이루어지죠? 음파가 고막에 닿아 진동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뇌에 전달되는 것입니다.

 

바깥 세상을 경험할 수 있는 모든 감각이 뇌에서는 같은 형태의 전기 신호로 전달됩니다. 작곡가 스크리어빈의 경우는 공감 각자라고 하는데 음악을 들으면 그 음계에 따라 다른 색이 보였다고 합니다.그래서 뭔가 색깔 인지와 내가 듣는 소리처럼 경험했는데 뇌 입장에서는 이미 세상 모든 것이 가상인지 진짜인지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근데 vr 헤드셋을 쓰면 뭔지 정말 잘 알잖아요. 뇌가 그걸 알고 있잖아요? 이렇게 들을 수 있을 거예요. 그런데 그 이유는 아직 기술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뇌가 정말 세상, 유니버스를 경험할 때는 굉장히 다양한 종류의 감각기관에서 경험을 하고요.

 

그러니까 저희가 vr 헤드셋을 딱 써도 제가 이렇게 누워서 볼 수도 있고 얼굴을 움직일 수도 있고 머리 포지션이 다르잖아요. 제 몸의 움직임 머리의 움직임이 뇌에서는 모두 똑같이 인지되지만 그에 따라 볼 수 있는 정보도 바뀌어야 하거든요.

 

그런데 이런 헤드셋 같은 걸 썼을 때는 목의 움직임 어깨 머리의 움직임까지는 센서가 감지를 못했기 때문에 뇌가 받을 수 있는 신호가 눈에 보이는 게 다른데 라고 느끼기 때문에 가상현실이 진짜처럼 느껴지지 않는데 만약 정말 인간의 뇌가 받는 모든 몸의 신호를 진짜와 똑같이 뇌에 전달할 수 있다면 뇌는 가상현실과 현 상태의 세상을 구분할 수 없거든요.

 

메타버스 전망 – 돈이 몰리는 이유

 

메타버스가 정말 이렇게 현실 속으로 들어가려면 어떤 기술이 더 개발돼야 할까요? 메타버스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엘론 머스크의 뉴럴 링크나 일부에서는 뇌에 직접 칩을 이식해 제가 생각만으로 로봇두도 조정하고 게임도 할 수 있고 이런 기술을 실제로 개발하고 있는 뇌공학자들이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지금 정말 바로 코앞까지 다가온 기술은 페이스북이 투자한 oquls rest의 경우에는 vr이 이미 ar가 되었습니다 증강현실이 되어 바깥세상이 보이지만 제가 원하는 것을 다 붙이는 것이 있어서 뿐만 아니라 뉴럴 인터페이스 뇌신경망과 제 손 근육을 연결하여 제가 단지 이렇게 타이핑을 하면 제 손가락 근육 신호가 여기에 손목밴드의 연결이 되어 실제 세계 속에서의 제가 지휘하는 제가 그려내는 모든 것이 증강현실로 메타버스 안으로 들어갑니다.

이런 기술까지 이미 개발됐거든요.

페이스북 그룹은 그래서 증강현실 혼합현실 가상현실, 이런 말과 사용하지 않아요, 페이스북 리얼리티 프로그램 그룹이라는 곳이 있어요. 자신들이 다른 현실을 창조한다는 거죠. 저는 데모를 벌써 봤어요. 뇌과학자가 개발했거든요.

 

여기 외에 이런 기술들이 굉장히 많이 개발되어 있어서 제 예측으로는, 이것으로 한 3년에서 5년 안에 여러분은 아주 재미있는 세상을 보는 것과 굳이 장담해 봅니다.

 

어떤 근거로 호언하냐고 말입니다.저희가 가상현실을 중양현실 얘기는 많이 했는데 이 기술이 아직 우리 앞에 다가오지 않았다고 생각해버리는 분들이 많은데 저희가 2007년도에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스마트 세계가 왔잖아요.

 

최근에 나온 오큘러스퀘스트 2가 1년도 안돼 100만대 팔렸습니다.

이전에 아이폰이 보여줬던 돌풍과 같은 변화가 지금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세계에서는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얼마나 많은 재미있는 기술이 나올지 기대가 됩니다.

메타버스를 저도 배우고 있는 중입니다. 여러분, 메타버스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즐겁게 살면서 돈도 벌고 미래세대와 즐겁게 소통도 하면서 행복하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